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01

퍼센트 증가 감소 차이 계산기 회사를 다니며 퍼센트 증감 비율에 대해 작성해야하는 일이 생겼는데,,,, 멍청한건지 여간 귀찮더라. 그러다 해당 사이트를 발견해서 애용중. http://mwultong.blogspot.com/2008/05/percent-increase-decrease-difference.html 퍼센트 증가 감소 차이 계산기: Percent Increase Decrease Difference Calculator 퍼센트 계산기입니다. 퍼센트 계산은 여러 가지 복잡한 종류가 있습니다. 여기에 있는 계산기는, 어떤 값을 얼마만큼 변경하면, 몇 퍼센트 변동되었는지를 계산합니다. 예를 들어 주식 거래에서 mwultong.blogspot.com 2022. 9. 14.
Redis UI 툴 추천 1. P3X Redis UI https://www.electronjs.org/apps/p3x-redis-ui P3X Redis UI | Apps | Electron A very functional handy database GUI and works in your pocket on the responsive web or as a desktop app. www.electronjs.org 2. Medis https://devlog-wjdrbs96.tistory.com/376 [Redis] Medis를 사용하여 Redis GUI를 사용하는 법 Medis 설치해서 사용하기! MySQL 같은 경우는 WorkBench 가 있어서 손쉽게 데이터를 보고 관리할 수 있는데요. 하지만 Redis는 매번 redis-cli 를.. 2022. 8. 24.
Spring - Redis 연동하기 1. Redis 특징과 주요 사용처 특징 Redis는 List, Set, Sorted Set, Hash 등과 같은 Collection을 지원합니다. List : redis Strings의 묶음 Collection Set : 중복되지 않는 값을 데이터로 갖는 Colelction Sorted Set : 가중치(Score)를 갖고 가중치(Score)에 따른 정렬된 순서로 중복되지 않는 값을 데이터로 가지는 Colelction Hash : Key 하나에 여러개의 Field와 Value로 구성된 즉, Key 내부에 또 다른 Key - value로 이루어진 Collection Dump 파일과 AOF(Append Of File) 방식으로 메모리 상의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. Master/Slave Re.. 2022. 8. 24.
[Redis] Redis 설치 및 간단한 사용 방법 (Mac) Redis는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로 key: value로 값을 저장하는 NoSQL입니다. 인-메모리(In-Memory) 데이터베이스로 메모리에 데이터가 저장됩니다. 싱글 쓰레드로 Atomic 합니다. Brew 설치 mac은 brew를 이용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. $ brew install redis 위의 명령어를 통해 Redis를 설치합니다. (다소 시간이 걸립니다) $ brew services start redis $ brew services stop redis $ brew services restart redis brew services start 명령어를 통해 Redis를 실행시켜 줍니다. $ redis-cli 위의 명령어를 통해 CL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.. 2022. 8. 24.
KPT 회고란 ? 프로젝트가 종료되거나, 리뷰하는 자리에 적용하면 좋을 방법론이 있어서 글은쓴다. KPT는 애자일 회고 방법론이라 생각된다. 아래의 글에 KPT의 사용법이 잘 명시되어있으니 참고해서 모두 적용해보자 ! https://brunch.co.kr/@jinha0802/35 KPT 회고란 무엇인가? 스타트업에서 KPT 회고는 언제 필요하며, 왜 해야 하는가? | 1. KPT 회고란? KPT회고는 다양한 회고 방법론 중 하나이다. Keep, Problem, Try의 약자로 회고 내용을 세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여 회고를 진행 brunch.co.kr 아래의 블로그글은 잘 작성된 예시라 생각되어 첨부합니다. https://velog.io/@aboutjoo/KPT%ED%9A%8C%EA%B3%A0-%EC%B6%94%EC%B2.. 2022. 8. 24.
[Pinpoint] Pinpoint APM 적용하기 네이버 오픈 APM 도구 Pinpoint (핀포인트) 도입하기 위해 잘 정리된 블로그가 있어서 공유 한다. APM이란?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라는 뜻으로, 웹 서비스의 성능의 관리 및 향상을 도와주는 툴을 일컫는다. Pinpoint란?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및 구조를 분석하고 문제를 진단 및 처리하는 분산 시스템 추적 플랫폼으로, 네이버에서 개발 및 유지보수하고 있다. Pinpoint의 장점 오픈 소스 Pinpoint는 오픈 소스로서, 유료 APM 솔루션들과 달리 오픈 소스 라이센스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. 또한 네이버에서 개발 중인 툴이기 때문에 한국어 문서도 찾아볼 수 있다. 간편한 설치 설치 및 적용이 간편하고, UI.. 2022. 8. 2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