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SpringBoot30

[ELK] ELK 스택 구축으로 로그를 수집하고 시각화하기(3/3) (feat. Redis) 쌓이기만 하는 로그는 그만! ILM 설정으로 효율적인 로그 운영하기🙇‍♂️ 이전 글 : https://thinkandthing.tistory.com/122 [ELK] ELK 스택 구축으로 로그를 수집하고 시각화하기(2/3) (feat. Redis)서브타이틀 : 로그를 모으고 보는 것까지! Kibana UI 확인과 Spring Boot 로그 설정법 🙇‍♂️ 이전 글 : https://thinkandthing.tistory.com/121 🧐 왜 이걸 딥다이빙하게 되었을까요?앞선 글에서 ELK 스택을 구thinkandthing.tistory.com 🧐 왜 이걸 딥다이빙하게 되었을까요?ELK 스택을 도입하고 로그가 잘 쌓이기 시작하면, 금방 새로운 고민이 생기죠. 바로 "저장 공간"이에요.처음엔 몇 메.. 2025. 6. 11.
[ELK] ELK 스택 구축으로 로그를 수집하고 시각화하기(2/3) (feat. Redis) 서브타이틀 : 로그를 모으고 보는 것까지! Kibana UI 확인과 Spring Boot 로그 설정법 🙇‍♂️ 이전 글 : https://thinkandthing.tistory.com/121 🧐 왜 이걸 딥다이빙하게 되었을까요?앞선 글에서 ELK 스택을 구축했다면, 이제 실제 로그를 수집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다뤄볼 차례에요. 단순히 구성만 해놓고 로그가 안 들어오면 무용지물이잖아요? Kibana UI에서 로그를 확인하고, Spring Boot에서 Redis를 활용해 logstash로 로그를 흘려보내는 방법까지 제대로 정리해봤어요!🔍 실행 및 Kibana 접속1. ELK 컨테이너 실행docker pull docker.elastic.co/elasticsearch/elasticsearch:8.7.0doc.. 2025. 6. 11.
[ELK] ELK 스택 구축으로 로그를 수집하고 시각화하기(1/3) (feat. Redis) 서브타이틀 : Spring Boot 로그를 ELK 스택과 함께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인프라 구성기 🧐 왜 이걸 딥다이빙하게 되었을까요?서비스 운영 중 발생하는 수많은 로그를 단순 저장만 하는 건 이제 너무 아쉽죠. 로그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고, 에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선 수집, 저장, 분석, 시각화까지 한 번에 가능한 ELK 스택을 제대로 써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. 특히 Redis와 함께 연동하면 더욱 안정적으로 로그 버퍼링이 가능하다는 점이 끌렸고요!🔍 ELK 스택 구성 및 이해ELK 스택이란?Elasticsearch: 강력한 검색 및 분석 엔진Logstash: 다양한 소스로부터 데이터 수집 및 가공Kibana: 데이터 시각화 및 탐색 툴이렇게 셋을 합쳐 ELK 스.. 2025. 6. 11.
[ELK] Kibana Dev Tools 명령어 모음 & 해설 🧰 서브타이틀 : Elasticsearch 운영자를 위한 필수 실전 명령어 총정리🧐 왜 이걸 딥다이빙하게 되었을까요?ELK Stack을 운영하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 Dev Tools 콘솔에 자주 들어가게 돼요. 그런데 명령어를 검색해서 쓰는 것보다, 자주 쓰는 명령어는 미리 정리해두면 훨씬 효율적이라는 걸 느꼈어요. 특히 ILM(인덱스 수명주기 관리)나 클러스터 상태 확인은 정말 자주 쓰이더라고요. 그래서 이번엔 이걸 한 번 정리해봤습니다!🔍 실전 명령어 모음1️⃣ Index Lifecycle Management (ILM)GET /appapi*/_ilm/explain→ 인덱스별 ILM 상태 확인 (hot, warm, cold, delete)GET _ilm/status→ ILM이 실행 중인지 확인 (RUN.. 2025. 6. 10.